스태틱 라우팅 

스태틱 라우팅은 네트워크 관리자(사람)가 직접 라우팅 테이블을 작성하는 방법.

사람이 수동으로 경로를 지정해주기 때문에 라우터의 CPU, 메모리를 적게 사용해 라우터에 부담이 적음.

또한 인접 라우터와 정보를 공유하지 않기 때문에 네트워크 대역폭을 절약할 수 있고 보안이 더 좋음.

하지만 다른 라우터에 문제가 생겼을 때 문제가 생긴 라우터를 우회하지 못하므로 관리자가 직접 경로를 수정해주거나 라우터를 고치기 전까지는 통신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음.

그리고 대규모 네트워크에서는 설정이 복잡해져 소규모 네트워크에 적합한 방식.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다이내믹 라우팅이 등장.

 

다이내믹 라우팅

다이내믹 라우팅은 다시 여러 가지 프로토콜로 나눠진다. 

인터넷상에서 라우터는 셀 수도 없을 만큼 많이 존재한다. 

 

하나의 큰 조직이 많은 라우터를 연결해 만든 네트워크를 Autonomous System, 즉 AS라고 부른다. 

이 조직들은 대학교, 회사, 통신사들이 될 수 있다. 

우리나라의 AS정보는 한국인터넷진흥원에서 확인할 수 있다. 

AS 모습

 

AS가 있을 때 AS 내부에서 쓰는 라우팅을 프로토콜을 Interior Routing Protocol(IRP)라고 부른다. 

그리고 서로 다른 AS를 연결하기 위한 라우팅 프로토콜을 Exterior Routing Protocol(ERP)라고 부른다. 

 

IRP와 ERP 이미지

 

그리고 IRP와 ERP에 있는 라우팅 알고리즘은 동작에 따라 아래와 같이 구분된다. 

 

다음시간에 각각 알고리즘에 대해 알아보자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1) 2024.07.08
RIP(Routing Information Protocol)  (0) 2024.06.24
라우터  (0) 2024.06.23
IP헤더(패킷)  (0) 2024.06.23
IP 클래스와 서브넷 마스크  (0) 2024.06.2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