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확히는 IP Port를 배우는데 Port 는 아직 안배웠으니 생략하고,
우리는 통신하려는 목적지 컴퓨터의 IP는 알고 있어도 MAC 주소를 모르기 때문에 통신이 불가능해 보인다.
어떻게 통신이 가능할까?
ARP 덕분에 가능하다.
ARP는 IP주소로 MAC주소를 알아낸다.
내 PC에서 친구 PC로 데이터를 전송한다고 할 때. IP는 아는데 MAC을 모른다.
내 PC는 ARP 요청 메시지를 만든다.
출발지 IP, 목적지 IP 적고
데이터링크 계층에서 출발지MAC에 내 MAC주소적고 목적지 MAC은 브로드캐스트 MAC주소를 적는다.
FF:FF:FF:FF:FF:FF
허브에 도착한 데이터는 연결된 모든 PC로 데이터를 전달한다.
연결된 모든 PC에 요청 메시지가 전달된다.
목적지 IP를 확인해서 자신의 IP면 ARP응답 메시지를 보낸다. 아니면 버림
메시지 내용은 출발지 MAC에 자신의 MAC주소, 목적지엔 내 MAC주소 적이서 보냄
그와 동시에 친구1의 PC에는 자신의 컴퓨터에 나의 IP주소와 MAC주소를 ARP 캐시 라는 곳에 저장해둔다.
내 PC에도 ARP캐시가 저장된다.
한번 브로드캐스팅으로 MAC주소를 알아내면 다시 브로드캐스팅 하지 않음
Q. 만약 같은 네트워크가 아니라 라우터를 건너서 다른 네트워크로 전달할 때는 어떻게 보내는 걸까?
A. 이때는 라우터가 도와준다.
다른 네트워크 주소에 보내기 위해서는
출발지 IP주소는 내IP 주소, 목적지 IP주소는 라우터 IP주소로 보낸다.
라우터가 내 PC로 응답을 보내준다.
라우터 MAC주소가 저장됨
<정리>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는 IP 주소로 MAC 주소를 알아내기 위한 프로토콜.
ARP 패킷(요청 메시지)에 목적지 IP 주소를 적고 MAC 주소는 브로드캐스트 주소로 설정해 전송하면 ARP 요청 메시지를 받은 호스트는 자신의 MAC 주소를 응답으로 보냄.
목적지의 MAC 주소를 전달받으면 ARP 캐시라는 곳에 IP 주소와 MAC 주소를 매핑시키고 다음부터 데이터를 전송할 때는 브로드캐스트가 아니라 ARP 캐시를 참조해 목적지 IP 주소의 MAC 주소를 적어서 전송.
ARP 덕분에 IP 주소만 알고 있더라도 통신할 수 있는 것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터넷과 인트라넷 그리고 VPN (0) | 2024.07.31 |
---|---|
Proxy 서버 (1) | 2024.07.31 |
RIP(Routing Information Protocol) (0) | 2024.06.24 |
스태틱 라우팅과 다이내믹 라우팅 (0) | 2024.06.23 |
라우터 (0) | 2024.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