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계층에선느 물리 신호(전압, 빛, 전파) 전달을 담당 했다면 

데이터링크 계층에서는 기기에 MAC 주소를 부여해 원하는 기기에만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이 외에도 매체 공유, 비공유 기술, 스위칭 등(실제 전송은 물리 계층에 의존)

 

현재 데이터링크 계층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프로토콜은 이더넷이다. 

(이 외에 Token Ring, FDDI 등이 있지만 이더넷이 주류!)

 

이더넷(Ethernet)

이더넷은 구조가 간단하고 장비가 저렴해 데이터링크 계층을 대표한다. 

초기 이더넷은 동축 케이블을 이용해 통신했다. 

 

IEEE 802.3 위원회에 의해서 상세하게 만들어 졌는데 문서를 보면 동축 케이블을 어떻게 만들어야 하고 처리해야 하는지 상세하게 나와있다. 

 

초기 이더넷은 동축케이블을 사용하는 버스형 네트워크 였다. 

이런 구조는 송수신을 동시에 하면 충돌이 발생하기 때문에 CSMA/CD 라는 프로토콜이 만들어졌고, 반이중통신으로 안전하게 통신할 수 있었다. 

하지만 속도가 느려한계가 있었다. 그래서 그 이후 UTP케이블, 광케이블이 등장했다. 

 

 

 

IEEE802.3 위원회는 전송속도와 케이블에 따라서 다시 세분화 되는데 종류는 이것들 외에도 여러가지가 더 있다. 

IEEE802.3, 802.3a, 802.3i, 802.3u, 802.3x 등등 

 

케이블 제조업체들은 케이블을 만들때 IEEE 802.3을 참조해서 상세스펙에 맞춰서 만들게 되고 이것을 표준을 지킨 케이블이라고 말한다. 

덕분에 우리는 제조업체를 신경쓰지 않고 케이블만 구매해 통신을 할 수 있다. 

 

데이터링크 계층은 네트워크 계층에서 전달되는 패킷에 데이터링크의 약속을 나타내는 헤더를 덧붙인다. 

출처: 인프런 그림으로 쉽게 배우는 네트워크

 

<이더넷 헤더>

 

헤더는 IEEE 802.3에 정의되어 있다. 

 

데이터는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전송된다. 

이더넷 헤더: 인프런, 그림으로 쉽게 배우는 네트워크

1. Preamble, SFD 

프리앰블과 SFD(Start Frame Delimiter)라는 필드가 있다.

이 필드는 랜카드에게 이더넷 프레임이 시작된다는 것을 알리는 역할을 한다. 

총 8바이트, 즉 68비트로 구성되어 있다.(프리앰블 7byte, SFD 1byte)

 

2. Destination Address, Source Address  

목적지 및 출발지 MAC 주소를 저장하는 필드

수신처 MAC 주소와 송신처 MAC 주소가 나온다. 

각각 6바이트, 즉 48비트로 구성되어 있다. 

 

만약 수신처의 MAC 주소가 모두 1(FF-FF-FF-FF-FF-FF)로 되어있다면 이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트 하라는 뜻이다.

 

LENGTH/TYPE 필드에는 상위계층의 프로토콜 타입이나 현재 프레임의 데이터의 길이가 저장된다. 

2바이트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값이 1500이하라면 데이터의 길이를, 1500보다 크다면 상위 프로토콜의 타입을 나타낸다. 

 

데이터필드는 46~1500바이트까지 올 수 있고 네트워크 계층에서 전달받은 패킷을 나타낸다. 

데이터 크기가 너무 작다면 PAD 필드에 데이터를 덧붙여 적절한 크기로 만든다. 

 

마지막으로  FCS(Frame Check Sequence)필드는 이 프레임이 손상됐는지 체크하기 위한 필드이다. 

4바이트 크기이며, 

수신측에서는 FCS를 체크해서 데이터가 손상되었다고 판단하면 이 프레임 전체를 버린다. 

 

이더넷 프레임의 크기는 Data 필드에 따라서 64~ 1518byte가 된다. 

 

참고로 

전기전자공학자협회 웹사이트에 가입하고 IEEE 802.3: Ethernet -> 802.3-2022 IEEE Standard for Ethernet 의 PDF파일을 다운로드하면 Ethernet의 모든 규격이 아주 자세하게 나와있다고한다.(7000페이지 이상ㄷㄷ)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브리지  (0) 2024.06.16
CSMA/CD  (0) 2024.06.16
허브  (1) 2024.06.16
리피터  (0) 2024.06.16
[네트워크 구성] 최초의 통신  (0) 2024.06.16

데이터링크에서 사용되는 기술

 

랜카드가 데이터링크 계층인 이유도 MAC 주소 때문이다. 

Media Accerss Control의 약자로, 각각의 기기를 구분하기 위한 용도로 만들어졌고 기기가 만들어질 때 제조사에서 고유한 MAC주소를 부여한다. 

 

제조사간에 MAC주소가 겹칠일은 없다. 

미국의 전지전자공학자협회(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에서 관리한다. 

 

MAC 주소는 48bit 즉 6바이트로 구성되어 있다. 

 

전기전자공학자협회는 제조사를 구분할 수 있도록 

MAC 주소의 앞 24비트에 제조사 코드를 부여한다. 

나머지 24비트를 기기 고유 값으로 사용한다. 

 

ipconfig /all 

입력해 MAC 주소 값을 알아낸 뒤, 

https://uic.io/ko/mac/

 

MAC 주소 조회

MAC 주소에서 업체 정보를 표시 할 수 있습니다. 업체 정보는 매일 업데이트하고 있습니다.

uic.io

이 사이트에 가면 MAC 주소를 조회하여 제조사를 확인할 수 있다.

 

MAC주소는 유무선 랜카드 뿐만아니라 공유기(라우터), 스위치에 할당되어서 기기를 구분하는 역할을 한다. 

 

MAC 주소가 겹칠일은 없는데 만약  겹치더라도 같은 LAN 환경이 아니라면 겹쳐도 문제되지 않는다.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피터  (0) 2024.06.16
[네트워크 구성] 최초의 통신  (0) 2024.06.16
랜카드  (0) 2024.06.16
케이블  (1) 2024.06.13
물리계층과 데이터링크 계층  (0) 2024.06.13

Network Interface Card라고 불리는 하드웨어로 데이터링크 계층에 해당하는 장치이다. 

 

물리계층의 기능도 수행함. 

 

컴퓨터 메인보드(마더보드)에 내장되어있거나 추가 슬롯을 장착할 수 있다. 

 

랜카드는 애플리케이션 계층부터 시작해서 각 계층을 타고 내려온 최종 디지털 데이터인 프레임을 아날로그 데이터로 바꾸기도 하고 

전달받은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바꾸기도 한다. 

 

랜카드는 MAC주소(전세계에서 유일한 주소)를 갖고 있다. 

 

케이블을 타고 아날로그 데이터가 랜카드에 전달되면 랜카드는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다. 

무선랜카드는 전파를 통해 전송되는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한다. 

 

디지털 데이터에서 데이터링크 헤더에 적힌 목적지 MAC 주소가 자신의 MAC 주소와 일치하는지 비교한다. 

일치하면 CPU에게 데이터가 왔다고 알려주고, 일치하지 않으면 버린다. 

 

랜카드는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바꿔주고 필요한 데이터반 받는 중요한 장치이다.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구성] 최초의 통신  (0) 2024.06.16
MAC 주소  (1) 2024.06.16
케이블  (1) 2024.06.13
물리계층과 데이터링크 계층  (0) 2024.06.13
단방향, 반이중, 전이중 통신  (0) 2024.06.13

+ Recent posts